미국 반도체 공급망 재편 작업 가속화 했다, 민감한 정보 뺐나?

미국 정부가 글로벌 주요 반도체기업과 관계기관에 요청한 반도체 정보 제출기한이 임박 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국내 기업도 공개 수위를 놓고 중장기적인 경쟁력 확보가 시급할 것으로 보여진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8일 미국 상무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정보 응답 서식을 제출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당초 고객사와 관련된 정보 제출 거부 의사를 밝혔던 반도체 위탁생산 파운드리 1위 대만 TSMC가 기존 입장을 전환하면서 자료 제출을 한 것으로 알려졌고 파운드리 업체 UMC와 역시 세계 최대 반도체 패키징 테스트 업체 ASE 등 대만 반도체 기업들이 명단에 올렸습니다.

미국에서는 메모리 반도체 글로벌 3위 마이크론을 비롯하여 웨스턴디지털과 오토키니론과 이솔라 등이 자료 제출을 진행했고 이스라엘 파운드리 업체인 타워세미컨덕터도 자료를 낸 것으로 알렸습니다.

상무부는 전 세계 주요 반도체 생산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제조공정과 생산품 그리고 고객사, 리드타입, 제품제고 등의 총 26개 항목에 대하여 답할 것을 요청하였고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계약상 비밀 유지 조항 등 민감한 정보에 대하여 비공개를 하거나 최소화 하는 수준으로 자료 제출할 것으로 내다 보았습니다.

타워세미컨덕터 관계자는 나스닥 상장사라는 이유로 고객사 항목에 특정 기업을 기재하지 않았다고 했고, ASE의 경우 모든 정보 요청 항목에 아무런 항목도 기입하지 않은 채로 응답 서식을 낸 것으로 확인 되었고 마이크론도 비공개 자료로 제출했습니다.

현재, 미국은 반도체 산업에 대하여 국가 안보와 직결되며 향후 첨단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핵심기반 산업으로 평가 된 바, 백악관을 중심으로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본격 재편하는데 가속화 했다고 알려짐에 따라 한국에 이에 대하여 대비책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정책의 흐름에 맞추어서 각국의 정부와 기업들은 대 중국 견제 기조를 맞추는 분위기이고 역내 동맹을 강화하고 자국 공급망 구조에 대한 효율성 대신 안정성으로 재편하는 등의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국내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와 이번 자료 요구를 시작으로 하여 향후 제2, 제3의 압박이 이어질 가능성도 생김에 따라 면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고 한국 기업이 차량용 반도체 보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비중이 높은 만큼 단기적으로 대응하기 보다 중장기적인 대응이 중요하다고 전해졌습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차량 반도체 수급 난에 대한 현황 진단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하여 완성차 등 차량용 반도체 수요 기업은 반도체에 대한 예상 수요 등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국내 공급기업들과 공유해야 한다고 알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