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스 예금금리에 은행기피족 생겨

지난 8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이후로 시장금리와 대출금리가 가파르게 올랐지만 예,적금 금리의 상승폭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특히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명목금리에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실질금리의 마이너스폭은 역대 최대로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에 이미 2030은 이미 예금 기피족이 생기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현재 국내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1.16%으로 이달 물가는 전년 대비 2.48% 오르면서 이를 제한 실질예금금리는 -1.32%가 되었습니다. 여기에 이자소득세율(15.4%) 반영시 실질금리의 마이너스폭(-1.50%)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근 10년만에 3%대(3.18%)를 기록한 상황에서 예금금리가 9월과 같은 수준(0.16%포인트)으로 증가할 경우 실질금리는 -1.86%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한국은행이 은행 가중평균금리 통계작성을 시작한 1996년 이래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결론적으로는 은행 계좌에 돈을 두면 실질 가치가 더 떨어지는 셈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다보니 예금은 더 이상 자산증식 수단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2030 남성에서 가장 많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핀테크 플랫폼 핀크의 금융 SNS ‘핀크리얼리’에 축적된 데이터(10만명)를 분석한 결과, 2030 남성은 주식 투자금이 예적금 통장에 들어가있는 돈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또, 전체 연령과 성별로 따져봤을 때 예적금과 주식 보유금액 비중은 6 대 4로 집계되었는데 2030 남성을 제외하고는 예적금 보유금액 비중이 전 연령,성별에서 60%를 웃돌았습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는 국내외를 넘나들며 이루어졌습니다. 물론 상승장은 아니어도 수익률은 예적금보다 수배 이상 높았습니다.

지난달 말(28일) 기준 핀크 리얼리 이용자의 해외주식, 국내주식 평균 수익률은 각각 9%, 23%으로 집계되었는데 보유자 수로 봤을 때 국내주식 투자자들은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카카오 순으로 많이 가지고 있었고 해외주식은 애플, 테슬라, AT&T 순으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전 연령대에서 국내주식 투자 비중이 7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0대 남성의 해외주식 투자 비중이 27.5%로 전 연령,성별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이렇듯 현재 마이너스 예금 금리에 따라 2030세대들을 비롯하여 다른 연령대까지 은행에 예금을 이체해놓기보다는 다른 투자방법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